이발소에서
이발소에서
이발소는 본래 서양에서 외과병원을 겸했단다.
간판이 적색·백색·청색으로 되어
빙글빙글 돌아가고 있다.
이런 간판은 1540년 파리에서 시작되었단다.
우리나라는 유교사상에 의하여
신체발부 수지부모(身體髮膚 受之父母)라 하여
그것을 훼손하지 않는 것이 효(孝)의 시작이라
장발(長髮)이 지켜져 왔다.
1895년(고종 32) 11월 단발령이 내려지면서부터
서구식 이발이 시작되었단다.
1920년을 전후로 많은 유학생들이 일본에 다녀오면서부터
전통적인 머리 모습에서
서구식 짧은 머리 모습으로 바뀌기 시작하였단다.
광복 이후부터 1960년 초까지
남자 머리모양은 크게 두 갈래로 유행하였다.
하나는 가르마를 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가르마 없이
완전히 뒤로 빗어 넘기는 ‘올백’형이다.
1970년대 중반에 접어들면서부터는
젊은 층이나 중년층 할 것 없이
장발이 크게 유행하여
귀를 덮는 머리 모습이 성행하였다.
1981년에 문교부가 학생들의 두발 자유화를 발표하면서부터
귀만 덮지 않는 정도의 긴 머리 모습으로 바뀌었다.
이발소에서 일하는 사람도
1960년대까지는 모두 남자들이었는데,
196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머리를 깎고 다듬는 일은 남자 이발사가 하고
면도는 면도사라 하여 여자가 담당하는 곳이 많아졌다.
1980년대에 접어들어서는 이발소 내부의 모습도 변화되어
대도시에는 칸막이를 하고
밀실에서 영업하는 이발소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영업 행위는 미풍양속에 저촉되므로
퇴폐업소로 규정되어 당국의 단속 대상이 되었다.
인터넷을 통해 얻은 머리에 대한 유행을
쓸데없이 장황하게 늘어놓았다.
오늘 간판이 “모범이발소”라고 붙은 이발소에 갔다.
소박하고 아담하다.
이발사는 할아버지고,
면도사는 할머니다.
두 분이서 호흡이 척척 맞는 느낌이다.
냉방장치는 잘 되어있어 시원하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발은 “월간행사”였는데
요즘은 석 달에 두 번 정도한다.
목욕탕, “머리 못하는 집”, 미장원(남성 컷트 6,000원) 등
닥치는 대로, 기회가 되는 대로 한다.
이발을 하고나면
단정해지고 젊어진 기분이 들고,
삶의 의욕이 새롭게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