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이야기

언어순화

Peter-C 2022. 6. 10. 06:08

언어순화

 

요즘 정치판에서 벌어지고 있는

언어폭력, 말실수, 말투 등은

생각할 점이 많다.

 

상식과 정의를 되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언어의 순화(純化)도 시급하다.

 

정치판 News를 외면할 수 없다.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기 때문이다.

 

법무부 장관 청문회에서 오고 간 말들은

反面敎師로 국회 역사에 남을 것이다.

 

지체 높은 분들의 말솜씨가

상스럽고 천박하다.

 

아이들이 배울까 두렵다.

학력과 경력이 부끄럽다.

 

말조심은

언제 어디서 어떤 상황에서도

누구에게나 적용된다.

 

東西古今을 통하여

말조심에 대한 금언은 늘 있었다.

전에 Internet에서 Memo를 해뒀든 말들이다.

 

사람은 태어날 때

입안에 도끼를 가지고 나온다.

어리석은 사람은 말을 함부로 함으로써

그 도끼로 자기 자신을 찍고 만다.” (수타니파타)

 

도끼는 날이 잘 서 있어야 좋은 도끼다.

그 날선 도끼를 자칫 함부로 다루면

무서운 흉기로 돌변한다.

 

사람의 혀는 도끼보다 더 무섭다.

힘 있을수록 더 조심해야 한다.

 

口舌者 禍患之門 滅身之斧也

구설자 화환지문 멸신지부야” (명심보감)

 

입과 혀는 화와 근심의 근원이요,

몸을 망치게 하는 도끼와 같다.”

 

입으로 다른 사람을 나쁘게 판단하고

심지어는 저주를 퍼붓기도 한다.

그 말들은 결국 나에게

Boomerang이 되어 해로움으로 돌아온다.

 

성숙한 사회,

건전한 세상에 걸맞은

점잖고 세련된 언어문화가 정착되길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