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이야기

덕(德)이란?

Peter-C 2019. 5. 13. 08:10

덕(德)이란?

딸이 내게
덕(德)을 쌓으라 했는데,
덕(德)을 어떻게 쌓는 것이냐며 묻는다.

많이 입에 담았었지만
막상 德을 말하려하니
주저하게 된다.
인터넷에서 찾아 정리를 해 봤다.

덕(德)이란 무엇인가?
장자의 말씀이다.

재주는 빨랫줄에 걸린 속옷과 같고
덕(德)은 장롱 속에 넣어둔 속옷과 같다.

산들 바람만 스쳐도 대낮 하늘 밑에서
창피한 줄도 모르고 오가는 사람들의
눈앞에서 재주라는 속옷은 나풀거린다.

그러나 장롱 속의 덕(德)이란
속옷은 남의 눈을 피하여
그것을 입을 사람에게 추위를 면하게
해 주려고 항상 기다리고만 있을 뿐이다.

덕(德)은 한번 나타나면 반은 소멸되고
두 번 나타나면 없어져 버린다.

그러므로 덕(德)을 앞세우면 차라리
덕(德)이 없었던 것만도 못하게 되어 버린다.

이것을 공치사라고 하는 것이다.

좋은 일을 했다하여 생색을 내는 것은
무슨 꿍꿍이속이 있었음을 말하는 것이므로
고마운 마음을 얻지 못한다.

덕(德)은
고마운 마음을 얻게 하는 것이다.

덕(德)은
마음을 가볍게 하고
입을 무겁게 하며
귀를 두텁게 하고
눈을 밝게 한다.

그러나 덕(德)이 마음속에서 나와
입을 통해 바람을 탈 때는
반나절 양지쪽 햇볕에 불과할 뿐이다.

이처럼 덕(德)은 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품 가운데 가장 으뜸이라 할 수 있다.

예로부터 조상들은 사람으로서
올바른 됨됨이를 갖추기 위해서
덕(德)을 세우고
자신을 낮추라했다.

덕(德)은
중국 최초의 자전인 〈설문해자〉에 따르면
“밖에서 사람이 바람직하고
안에서 나에게 얻어진 것”이라 했다.

덕(德)은
인간이 스스로의 수양을 통해서 얻어지고
그것이 다시 실천을 통해 나타남을 말한다.

덕(德)은
유학의 정치사상(政治思想)인
덕치주의(德治主義)와
예치주의(禮治主義)를 설명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고 있다.

유교사상은 인(仁)의 도덕과
그것의 정치적 실현을 말하는
덕치주의(德治主義)를 중요시한다.

공자는 〈논어〉 위정편에서
“백성을 인도하는 데
덕(德)으로써 하고

백성을 가지런히 하는 데
예(禮)를 가지고 한다면
백성은 부끄러움을 알게 되고
바로잡힐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가족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tchen Power  (0) 2019.05.24
지혜와 슬기  (0) 2019.05.22
어버이날에  (0) 2019.05.09
사랑하는 승이에게(65 어린이 날에)  (0) 2019.05.07
사랑하는 승이에게(64 승이 손)  (0) 2019.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