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실종시대
윤 석열 대통령은
“정의와 상식이 통하는 나라”를
되찾겠다고 공약(公約)했다.
현재 열심히 찾고 있다.
상식이 실종된 상황이
얼마나 엉터리였냐?
몇 가지만 예를 들어보자.
전직 서울법대 교수요,
전직 청와대 민정수석과 전직 법무부 장관이
자기 자식의 학력을 위해
허위 공문서 작성이 들통이 났는데도
여전히 뻔뻔하게 정치활동을 기웃거리고 있다.
장관까지 지낸 유 작가라는 수다쟁이는
그 공문서를 위조한 컴퓨터를 숨기는 것을
증거보존이라는 궤변을 늘어놓았었다.
국민을 우습게 여기고 있는 것이다.
국민의 대표라며 으스대던 김某 국회의원은
법무부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李某교수와 姨母교수를 구분 못하는
어처구니가 없는 일을 저질렀다.
또 다른 국회의원은 회사이름 “한국ㅇㅇ”을
韓 법무부 장관의 딸 이름으로
착각하여 개망신을 당했었다.
또 다른 국회의원은
무슨 말인지 모를 정도로
횡설수설하여 낮술을 했나하고
의심할 정도였었다.
상식적으로 도저히 이해가 안 된다.
사석이 아니다.
국민들이 지켜보는 청문회자리다.
부동산 정책, 탈 원전정책, 4대 강보해체,
친북굴욕외교, 부정선거 등
이외에도 상식 밖의 일은 수도 없다.
엊그제 일이다.
야당대표 각종 비리혐의 조사를 위한
구속영장을 기각한 판사의 기각사유가
상식에 벗어난다고 야단들이다.
논리모순에 궤변이란다.
기각을 미리 정해놓고 심사를 했다고
법조인들은 의심한다.
상식(常識)은 일반적인 사람이
다 가지고 있거나 가지고 있어야 할
지식이나 판단력이다.
상식은 가방끈이 짧거나 길거나,
돈이 많거나 적거나,
우두머리이건 졸개건,
도시인이든 시골농부든,
누구나 쉽게 이해하여
옳고 그름과 좋고 나쁨을 금방 알아챈다.
대통령 공약대로
정의가 판치는 나라,
상식이 통하는 사회,
양심이 움직이는 세상이
하루빨리 오기를 간곡히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