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침이냐 북침이냐?
“6·25 사변”이라고도 하며,
국제적으로는 “한국 전쟁”이라 불린다.
소련의 지원으로 군사력을 키운 북한이
38˚선 전역에서 남침하여
3일 만에 서울을 점령하였다.
국군은 북한의 앞선 병력과 무기에 밀려
한 달 만에 낙동강 부근까지 후퇴하였다.
이어 미국 주도로 유엔안전보장이사회가 열려
유엔군이 파병되었다.
유엔군의 9월 15일 인천 상륙 작전의 성공으로
서울을 되찾고 압록강까지 진격하였다.
하지만 북한의 요청으로 중국군이 개입하자
다시 서울을 빼앗겼다.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전투가 계속되었다.
3년 동안의 전쟁으로
인명 피해가 약 450만 명에 달하고,
남한의 43%의 산업 시설과 33%의 주택이 파괴되었다.
남북한은 휴전 상태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인터넷에서>
젊은이들에게
“남침이냐 북침이냐?”라고 물으면 안 된단다.
1950년 6월25일 일요일 새벽에
북한이 먼저 남한을 침략했느냐
남한이 먼저 북한을 침략했느냐고 물어야한단다.
“남침”이란
남한이 북한을 침략했다는 뜻도
북한이 남한을 침략했다는 뜻도 되기 때문이란다.
70년 전 일이다.
백년도 되지 않았다.
아주 먼 옛날이야기가 아니다.
겪었던 사람들이 없는 것도 아니다.
“남침”, “북침”의 뜻을 굳이 설명을 해야 한단다.
아마도 말의 뜻에 헛갈렸을 것이다.
전교조 교육의 심각성 때문에 생긴 말일 것이다.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고,
북한의 하는 짓들을 보면 모를 리 없다.
“6.25 70주년 기념행사”가 오늘
전국 곳곳에서 벌어질 것이다.
교대역에서도 부정선거에 대한
“국민주권수호”집회가 있다.
언론들은 침묵하고 있다.
Corona Virus 19 사태 공포도,
부정선거 의혹도,
각종 권력형 비리 의혹들이
아직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북한은 예측할 수 없는
망나니짓을 서슴없이 저지르며,
양아치들 집단처럼 천한 욕지거리를
아무런 거리낌 없이해대고 있다.
어느 평론가는
북한 내부 권력 유지 목적이라는데
북괴의 존재는 70년 전보다도 더 위험스럽다.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는 노래가
맥없이 들리는 6월25일이다.
'친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일방일(拈一放一) (0) | 2020.07.03 |
---|---|
그대에게 (0) | 2020.06.27 |
뒷담화 (0) | 2020.06.25 |
최후의 보루(堡壘) (0) | 2020.06.22 |
혼란스럽다 (0) | 2020.06.18 |